정보&이슈

CPI(소비자 물가 지수)란 무엇인가? 물가 상승과의 관계성

블루피스 2023. 7. 12. 20:16
반응형

CPI

 

CPI는 소비자 물가 지수(Consumer Price Index)의 약어입니다. CPI는 일반적으로 경제와 금융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정 시간대에 소비자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CPI는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일상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추적하여 물가 상승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CPI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격 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택비, 식료품, 교통, 의료 비용 등 다양한 부문의 가격 변동을 반영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기간 동안 소비자 물가의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파악할 수 있으며, 경제 정책 수립과 인플레이션 예측에 도움을 줍니다. CPI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부나 중앙은행에 의해 공식적으로 산출되며, 일반적으로 월별 또는 연간 CPI 지수로 발표됩니다.

 

갑자기 CPI가 이슈가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코스피가 상승했습니다. 
코스피는 12일 전 거래일보다 0.48% 상승한 2574.72로 마감되었고, 코스닥은 전일 대비 0.13% 상승한 879.88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58억원, 297억원 순매수하여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반면 개인은 2534억원 순매도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다른 흐름이 나타났는데, 개인은 2850억원 순매수를 기록하였으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938억원, 943억원 순매도했습니다.

이날 경제 전문가인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 6월 CPI 발표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유입되어 증시 움직임이 제한된 가운데 개별 종목들의 주가 상승세가 나타났다"며 "실제 결과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최근 상승세에 부족한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였습니다. 그는 "반대로 예상치를 상회하더라도 단기적인 변동성만 예상되어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이미 시장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까지의 2차 금리인상 확률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6월 CPI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현재 시장은 전년 대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1%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2년 동안 기록한 가장 낮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에 해당합니다. 또한,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5.0%로 예상됩니다. 이는 18개월 만에 기록한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 제시한 목표치에 비해 다소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