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이슈

3사 알뜰폰 요금제 정보 (단말기 자급제 아이폰15 출시)

블루피스 2023. 9. 5. 10:42
반응형

 

 

 

 

 

아이폰15가 출시 소식이 퍼지고 있습니다.

추청이지만 국내 아이폰15 출시일은 10월 6일(금)로 예상됩니다. 애플은 아이폰 15 시리즈를 2023년 9월 12일에 공식 발표하고, 22일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약 한달 뒤 발매합니다.

미국 기준으로 아이폰 15 표준 버전의 가격은 작년과 동일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이폰 프로 버전은 메모리 용량에 따라 100달러(약 13만 4000원)씩 상승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아이폰 15 출고가 예상 ]

아이폰14 출고가

 

 

 

한국이 유독 비싸게 아이폰을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유는 국내 출고가는 높아진 환율 영향으로 비싸졌다고 합니다. 전작인 아이폰13 시리즈와 비교하면 최대 17% 이상 가격이 올랐어요. 1400원대 환율로 적용되어 아이폰 15 출고가도 이와 같을 것으로 나타납니다.

 

기기값이 비싸지다보니 많은 분들이 통신사의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고

단말기 자급제  + 알뜰 요금제로 전환하는 추세입니다.

 

가족묶음, TV 인터넷을 제외한다면 알뜰요금제가 절약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매달 7~9만원 내던 요금제를 3~4만원대로만 떨어트려도 상당히 절약이 됩니다.

 

 

알뜰 요금제 장점 & 단점

 

장점 단점
1. 통신비 절감
일반 통신사에 비해 대략 1~3만원 저렴합니다.
1. 결합 상품이 부족함
가족간 결합상품 혹은 TV, 인터넷과의 결합 상품이 부족
2. 불편한 약정 계약이 없음
24개월, 36월과 같은 약정이 없음
2. 멤버십 혜택 부족
OTT나 스트리밍 사이트와 같은 제휴할인 서비스 부족
할인 쿠폰 혜택 부족
3. 다양한 요금제가 존재
특히 데이터를 많이 쓰는 분들에게 추
3. 고객상담 서비스가 불편함
4.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도 있음  4. 부가 서비스가 부족
데이터 쉐어링 서비스나 로밍 서비스 등이 부족
5. 정부와 알뜰폰 업자들의 노력으로 21년 이후 5G 요금제의 개선, 요금제 가입자 수도 늘고 있음 5. 5G 요금제의 경쟁력 부족 (그러나 개선되고 있는 부분)

 

 

알뜰폰 개념

 

 

알뜰폰 사업자가 계약한 3사 통신사에게 도매가 기준의 사용료를 주고 통신망을 사용하는 겁니다.

고객은 알뜰요금제로 저렴하게 통신망을 이용하죠.

그래서 브랜드사가 달라도 결국 3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셈입니다.

PASS 같은 모바일 본인인증이 필요시에도 알뜰폰은

1)SK알뜰폰, 2)KT알뜰폰, 3)U+알뜰폰 를 통해 인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SKT 망을 이용하는 사업자 브랜드들입니다. 

 


https://www.tworld.co.kr/poc/html/product/TS1.1.5.html


 

아래는 KT 망을 이용하는 사업자 브랜드들입니다. 

 


위너스텔

유니컴즈

케이티엠모바일

코드모바일

프리텔레콤

한국케이블텔레콤

머천드코리아

몬티스타텔레콤


etc

 

 

아래는 LG U+ 망을 이용하는 사업자 브랜드들입니다. 

 

 

 

 

너무 많은 브랜드사로 어떤 요금제로 선택해야할지 고민이 되실텐데요.

보통 알뜰폰은 첫 가입으로 부터 몇 개월 가량 1,000원 이하의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벤트 프로모션이 끝날때마다 다른 브랜드로 옮겨가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월별로 알뜰폰 요금제 추천 글이 올라오지요.

또는 매번 브랜드를 옮기는 것이 귀찮고 번거로우니 프로모션 제약 없는 요금제를 따져서 선택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요금제를 선택하는 방법은 단순히 저렴해서가 아닌 본인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비율에 따라 선택하셔야합니다.

영상을 많이 보거나 모바일 게임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데이터량이 많을테고

비즈니스 통화가 잦은 분들은 통화시간이 무제한인 상품을 선택해야겠지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알뜰폰 요금제 비교하는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