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이슈

학교 폭력 신고 전화번호, 성폭력 도움 기관, 학교 폭력 전화 상담 :학교 폭력 신고 해야 하는 이유

블루피스 2023. 10. 12. 07:00
반응형

학교폭력 신고 전화번호

 

[ 학폭 · 가정폭력 · 성폭력 · 성범죄 신고 전화번호 ]

학교폭력 예방교육 및 전화·문자 상담 교육부, 여성가족부, 경찰청 117
청소년 가출, 학업중단, 인터넷 중독, 고민 상담 청소년 사이버상담센터 1388
자녀 학교·가정생활, 특수교육 상담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02-2285-1318
학교폭력 전화상담, 인터넷 상담, 개인 및 집단상담 푸른나무재단 (청소년폭력예방재단) 1588-9128
성폭력·성착취·디지털성범죄 피해상담 탁틴내일 (아동·청소년성폭력상담소) 02-3141-6191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를 당한 학생들 중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고려한 비율이 무려 10명 중 4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폭력 범죄 수가 늘어 나는 만큼

폭력을 예방하고 또 해결을 해야 할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피해자만이 아니라 주변인들도 주위에 피해 상황이 없는지 유심히 살피고 또 적극적으로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중 안전 드림이라는 기관이 있는데요.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는 학교 여성폭력 및 성매매피해자 긴급지원센터입니다.

피해자의 인권보호 및 신속구조를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가정폭력, 학교폭력, 성폭력, 디지털성범죄 신고센터

 

 

경찰청 117학교 여성폭력 및 성매매피해 신고센터에서는 전국에서 발생되는 학교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및 성매매 피해자 신고를 접수하여, 즉시 긴급구조, 수사지시, 법률상담, One-Stop 또는 NGO 단체 연계 업무를 합니다. 

 

 

https://www.safe182.go.kr/cont/homeContents.do?contentsNm=intro_portal117 

 

안전Dream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17학교폭력 신고센터는 학교·여성폭력 및 성매매피해자 긴급지원센터입니다. 학교·여성폭력으로 인한 피해자의 인권보호 및 신속구조를 위해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업무 경찰청 117학교·

www.safe182.go.kr

 

 


 

학교 폭력을 신고하지 않는 이유



푸른 나무재단(UN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를 갖는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이 학교폭력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6.8%가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교폭력의 종류로는

사이버 폭력이 25.8%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언어폭력이 19.9%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또한, 신체폭력(8.9%)과 심지어 성폭력(5.0%)에 대한 피해 경험도 보고되었습니다.

한 학생이 경험한 학교폭력의 종류는 평균 3.8개로, 2020년의 1.6개와 2021년의 2.5개보다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 양상이 다양화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서울=뉴시스]푸른나무재단이 12일 발표한 '2023 전국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실태조사 및 대책' 중 일부. (자료=푸른나무재단 제공) 2023.09.12. *재판매 및 DB 금지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이유로는 아래와 같은 순으로 결과가 나왔습니다.

 

 

1. 도움을 요청해도 잘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 23.8%

 

2.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15.6%

 

3. 여러사람이 피곤해질 것 같아서 11.2%

 

4. 지금 당장은 요청하고 싶지 않아서 9.6%

 

5. 도움을 요청할 방법을 몰라서9.6%

 

 

학생들이 이런 이유로 신고를 주저한다는 사실이 너무 슬픕니다.

또 보복이나 해결이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그럼에도 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피해자 지원 

학교폭력 피해자가 신고를 하면,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 교육 당국, 및 사회단체는 피해자를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며, 정신적, 정서적, 그리고 법적 도움을 제공합니다.

 

 

 가해자 처벌 

학교폭력을 신고하면 가해자가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규칙과 법률에 따라 가해자는 학법 조치 또는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학교폭력을 반복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학교 안전 확보 

학교폭력 사례를 신고하면 학교 당국은 학교 내 안전을 유지하고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학교 환경을 개선하고 폭력 행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타 학생 보호 

학교폭력 피해자가 신고를 통해 가해자를 식별하는 것은 다른 학생들을 피해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해자의 행동을 멈추게 하면 학교 내 폭력 행위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인식 강화 

학교폭력 사례가 신고되면, 사회적 관심과 의식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예방 프로그램이 강화되며, 학교 내 폭력 문제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기 존중감 회복 

학교폭력 피해자가 신고를 통해 상황을 해결하면 자신의 자존감과 정신적 안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침묵하고 견딜 필요가 없으며, 도움을 청하고 지지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법적 보호 

학교폭력 피해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신고를 통해 법원에서 피해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가해자에 대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학교폭력을 신고하는 것은 피해자의 지원, 가해자의 처벌, 학교 안전, 타 학생들의 보호, 사회적 인식과 예방, 자기 존중감 회복, 그리고 법적 보호를 위해 중요한 단계입니다.

 

서론에서도 설명했듯이 피해자들은 큰 상처를 입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신고율이 낮을 수 있는데 그럴수록 주변 사람들이 친구들이나 지인들을 살피고 강요적이지 않는 선에서 신고를 해야 합니다.

또 학생들이 학교폭력 사례를 안전하게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익명 신고 옵션을 제공하고, 피해자를 위한 신고 과정을 간소화합니다.

 

학교폭력을 신고함으로써 학교 내 폭력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의 안전과 정서적 안녕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를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